◆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아이
-특징
이런 성격의 아이들은 끈기와 집중력이 뛰어나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사회성과 발표력이 부족해 남들 앞에서 나서는 것을 힘들어 하도록 합니다.
-지도법
무척 어려운 규칙을 강요하게 되거나 꾸중을 하기보다는 칭찬 중심의 학습 지도를 해야 하고, 지나친 간섭과 통제를 피하는 것이 좋다. 소극적이다고 해서 너무나 적극적인 행동을 강요해질 수 있게 되면 자칫 더 소극적으로 변할 수 있으니 자신감을 약간만씩 발현시키는 수가 있게 유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랑하고 외향적인 아이
-특징
이런 성격의 아이들은 다소 주위가 산만히 하기 쉬우며 집중하게 되는 시간도 짧습니다. 공부를 짧게, 집중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지도법
혼자 공부 한 것이라면 쉽게 지겨워 하니 되도록 여러명과 그룹을 만들어 공부를 하는 것이 좋으며, 집중력을 키우기 위한 차분한 놀이들을 자주 동시에 해지게 해야 합니다. 박물관, 자연학습, 현장학습 등 활동성 있는 교육들이 아이의 흥미도를 유발시켜 공부에 집중 하는것이 가능 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다소 엉뚱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
-특징
도전 정신이 강하며 호기심이 많아 새로운 것에도 쉽게 흥미를 볼 수 있는 성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도법
아이가 다소 엉뚱한 질문을 하더라고 무시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그에 맞는 대답을 해 줘야 아이들이 공부에 집중 할 수 있을 것이다. 복습은 최소화 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예습을 통해서 흥미를 유발해질 수 있게 해야 하는 방법이 좋으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교재들을 보여주는 것이라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따지기를 좋아하는 아이
-특징
논리 정연하고 이해력이 풍부하고 응용능력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명령조의 말이나 일방적인 설명을 싫어합니다.
-지도법
아이의 잘잘못에 대해 논리적인 평가를 자주 해질 수 있게 되면 그 논리에 맞게 행동을 교정해야 되거나 학습 지도를 하기가 쉬워해 질 수 있습니다. 공정하고 논리적인 평가 속에서 선의의 경쟁을 시키게 되면 공부에 대해 의욕도 상승해질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아이들은 정서적인 부분이 취약할 수 있으니 음악감상이나 악기 연주를 통하여 감성적인 부분의 자극도 도움이 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