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자신의 몸에 충실하게 먹어라.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음식을 너무 적게 먹는 것은 아닙니다.

때론 패스트 푸드를 먹기도 하며, 때론 고기를 먹기도 하도록 합니다.

음식의 섭취 시간도 제각각인 경우도 있죠.

그렇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배가 고플때 맞춰서 먹으며, 적정한 양의 음식을 꼭꼭 씹어 즐기게 해 준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더이상 배가 고프지 않으면 멈춰야 한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과식을 하지 않어 준다는 것이죠.

 

2.음식이 보상은 아니다.

 

우울하거나 즐거울때, 음식으로 보상 할리 준 다음 해야 합니다. 특히나 우울할때는 폭식으로 이어지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이럴때는 차라리 쇼핑을 하러 가어야 하거나 영화를 보거나, 가벼운 산책 등을 하게 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합니다.

 

3.음식은 언제나 먹을 수 있다.

 

음식을 먹지 않아야 된다는 강박관념은 오히려 음식을 더 많이 먹어야 된 것이다는 생각으로 작용하기도 해야 합니다.

세상의 마지막 음식이라도 된 마냥 마구잡이로 먹게 된 것이다면 결국 살이 찌게 되는거죠.

늘 음식은 풍족하다고 생각한 상태라면서 천천히 즐겨나는 것이 일단입니다.

 

4.박탈감이 없어야 한다.

 

음식을 심하게 줄이다 보면 박탈감을 느끼기 일쑤인 것입니다.

왜 이 음식을 먹지 않아야 하는걸까? 하는 생각이 계속 들다보면 결국은 폭식 할 수 밖에 없게 될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5.살짝 배가 고픈걸 즐겨라.

 

배가 살짝 고픈 상태를 즐기게 되는 것이다. 배가 고프면 무조건 먹어야 해도 된다기 에 비해, 어느정도 허기를 계속 유지하면 되는 것도 다이어트의 성공 비결.

 

6.먹는 모습 보여주기.

 

집에서 혼자 먹어 준다면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것을 가끔 잊기도 하도록 합니다.

이럴때는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사람들과 동시에 서로의 먹는 양을 체크 할 수 있게 먹는 모습을 보여주면 되는 것도 좋은 방법.

물론, 폭식가들이 만나서 먹어 준다면 더 좋지 않은 결과가 있으니 주의해야 해야 됩니다.

 

7.음식은 그저 음식이다.

 

살이 너무 많이 찐다게 되는 것이라도 중요하긴 그렇지만 우리가 움직이기 위한 연료가 음식이라게 되는 것이라도 중요합니다.

음식 섭취는 자연스러우며 필수적인 것인 것입니다.

음식에 대하여 스트레스, 혹은 우울증 해결을 위한 위안으로 삼는 것은 좋지 않은 생각인 것입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